김해시 청년 월세 지원 사업으로 1인당 최대 월 20만 원 받는 방법

반응형

김해시 청년 월세 지원 사업

 현재 우리 지자체는 청년들의 자립을 위해서 많은 지원 정책을 추진하고 있다. 특히, 본가에서 벗어나 타 지역의 대학에 진학하거나 타 지역의 기업에 취직했을 경우 월세에 부담을 느끼는 청년들을 위한 정책이 대표적이다. 내가 거주하는 김해시에서도 부모님과 별도 거주하는 무주택 청년 세대주에게 월세 지원을 하고 있다.

 

 단, 무주택 청년 세대주라고 해서 모두 지원을 받을 수 있는 건 아니고 아래 네 가지 기준을 충족해야만 한다.

 

● 주민등록상 주소지가 김해시이며, 19~39세 이하인 자

● 김해시 내 주택에 본인 명의로 임대차 계약이 완료되어 있어야 하며, 주민등록상 주소지와 임대차 계약서의 소지가 일치하는 자

● 임차 보증금 1억 원 이하, 월 임차료 60만 원 이하 주택에 거주하는 자(동시 충족)

● 가구 소득 기준 중위 소득 60% 초과 150% 이하 청년이 세대주인 가구

 

 어찌 본다면 간단한 조건인 것 같아도 김해시에 거주하는 청년들을 위한 정책이다 보니 주민등록상 주소지와 임대차 계약서의 소지가 일치하는 건 중요하다. 그리고 무엇보다 경제적으로 어려운 사람들을 위한 정책이기에 소득 기준과 임차 보증금 1억 원 미만 및 월 임차료 60만 원 이하인 청년에 한정되는 것도 괜찮았다.

 

ⓒ지하철

 우리 청년 세대가 자립하지 못하는 이유 중 가장 큰 이유는 월세 때문이다. 사람이 살 수 있는 평범한 원룸에 거주하려고 하면 오늘날 월세가 적지 않게 비싸다. 특히, 전세 제도가 있는 한국은 월세라고 해도 보증금이 이웃 나라 일본처럼 월세 2~3회 분이 아니라 단위 자체가 다르다 보니 자립하려는 청년은 부담이 될 수밖에 없다.

 

 부모님의 경제적 지원을 받아 월세 보증금을 내지 못한다면 결국 대출을 받아야 한다. 그리고 사회초년생 혹은 대학생의 신분으로 대출을 진행하려고 하면 당연히 이자도 비싼 데다가 대출 이자와 원리금을 갚는 데에 허덕이게 된다. 그렇게 돈에 쫓기는 삶을 살다 보니 자연스럽게 혼자 먹고살기도 힘들어 결혼을 생각하지 않는다.

 

 우리나라도 월세 제도를 개편해 월세 40만 원에 보증금 1천만 원 이상을 상회하는 게 아니라 보증금을 월세의 2~3회 분으로 제한하는 정책이 필요하다고 생각한다. 대신 이웃나라 일본처럼 보증인 같은 제도를 마련해서 그 사람의 신분을 명확하게 증명할 수 있는 보완책을 마련하는 게 필요하다. 이것만 해도 부담이 덜 수 있다.

 

김해시 청년 월세 지원사업 지원 내용 및 신청 방법

ⓒ김해시 청년 월세 지원

 앞서 언급한 지원 대상 기준을 충족한다면 경남 바로 서비스에 접속해 김해시 청년 월세 지원 사업 항목을 클릭해 신청하기 버튼을 누르면 된다. 이 과정에서는 필요한 서류 등을 첨부하게 되니 참고하자. 이 과정을 통해 지원 대상자로 선택된다면 1인당 월 최대 20만 원씩 12개월(최대 240만 원) 동안 지원을 받을 수 있다.

 

 월세 약 50만 원을 부담하고 있다면 이번 월세 지원 사업을 통해 약 절반에 가까운 월세를 지원받을 수 있는 셈이다. 접수 기간은 오는 4월 14일(월)까지로 오늘부터 약 일주일 정도 남아 있다. 만약 온라인 신청이 아니라 오프라인으로 신청하고자 한다면 김해 시청 본관 청사 4층 인구청년정책과 청년정책팀을 찾아야 한다.

 

 오프라인 창구에서 신청하고자 한다면 오전 9시부터 오후 6시 사이에 방문해야 하며(점심시간 12시~13시는 제외) 필요한 서류를 지참해야 한다. 제출 세류는 신청서 1부, 개인 정보 수집 등에 관한 동의서 1부 , 본인 신용 정보 조회서 1부, 임대차 계약서 사본 1부, 건강보험 납부 확인서 및 자격득실 확인서 1부가 있었다.

 

공고문(2025년 김해시 월세지원사업).hwp
0.09MB

 

 자세한 내용은 위에서 첨부한 김해시 홈페이지에서 다운받을 수 있는 공고문을 참고하자. 제외대상 항목을 꼼꼼히 분석해 내가 이번 김해시 청년 월세 지원 제도의 혜택을 받을 수 있는지 확인한 이후 신청하는 게 중요하지만, 언급한 네 가지 대상에 해당한다면 일단 필요한 서류를 준비해서 신청해 보는 것을 추천하고 싶다.

 

 온라인으로 신청이 가능한 경남 바로 서비스는 아래의 링크를 클릭하면 된다.

 

 

경남바로서비스

경남바로서비스 홈페이지입니다.

baro.gyeongnam.go.kr

반응형
그리드형(광고전용)

이 글을 공유하기

댓글

노지님의
글이 좋았다면 응원을 보내주세요!

Designed by JB FACTORY